가장 처음으로 들었던 수업내용이다.
사람이 사람끼리 대화를 할때는 언어를 사용한다.
한국 사람들은 한국어라는 언어로 대화를 할것이다.
컴퓨터는 인간과 대화할때 사람과 다르게 자기들의 언어를 필요로 한다.
물론 , 그 중간에도 또다른 과정이 있다고 배웠지만, 그건 잘 기억이 안나니 생략하도록 하고,
컴퓨터와 대화할수 있는 언어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지금까지 내가 배웠던 자바가 그중 하나다.
컴퓨터에게 무언가 지시할때 즉 입력이 필요할때, 자바를 처음 접하는이들이
가장 기초적으로 배우는 것이 Scanner이고 반대로 컴퓨터가 대답을 할때
가장 기초적으로 배우는 것이 print이다.
설명은 알아서들 찾아보시고 예제로 바로 넘어가자
긴 설명이 필요하랴? 그건 내게 어울리지 않을뿐더러 잘 설명할 자신도 없다 어서 예제로 가자!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Heigh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키를 입력하시오: "); int height = input.nextInt(); System.out.print(height >= 175 && height <= 185); } }
위의 예제는 키를 입력받고 결과를 출력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input 변수에 입력값을 때려박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인데,
괄호안에 조건을 넣어놓아 그 조건에 해당되면 true를, 아니라면 false를 출력한다.
놀랍지 않은가?
c언어에서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런거 자바에서 처음 보았다.
그만큼 당시에 문화적 충격이였고 '자바란 언어는 사람을 참 편하게 만들어주는구나' 하며
호들갑 떨었던 한심한 내모습이 아직도 기억난다.
예제의 결과만 말하자면 만약 내가 Scanner 변수에 170을 넣었을때엔 false가 출력될것이고,
180을 넣으면 true가 될것이다 .
고로 , 172인 나는 false라는것이다.
다음예제는 그나마 정상적인 것으로 주로 자바 기초 서적에 많이 나오는 내용이다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ileToK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마일을 입력하시오 : ");
double mile = scan.nextDouble();
System.out.println(
mile + "마일은 " + (mile * 1.609) + "킬로미터입니다."
);
}
}
마일을 입력받아서 킬로미터로 출력하는 예제인데
Scanner 변수를 입력받을때에 nextDouble을 사용하였다.
Int는 정수, Double은 실수로 표현할수 있다라고 배웠다.
그외에는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이 직접 찾도록 하자.
처음하는 얘기지만 이 블로그를 보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둬야 할것이 있다
그건 난 코더가 되고 싶은게 아니라 글을 잘쓰고 싶어 블로그를 하고 있다는 거..
음... 만약 당신이 자바 수업을 학교나 학원에서 듣고 들뜬 마음으로 복습을 하려고
검색하다 내 블로그에 온거라면 당신은 이제 1초라도 더 여기에 있으면 안된다.
도움이 안되니까... 당장 다른곳으로 가길 바란다.
print랑 Scanner를 검색해서 공부할 정도의 열정이면 당신은 분명 코딩에 관심이 있거나
크게 될 재목이니 괜히 나한테 미안해 하지말고 빨리 나가길 바란다.
그게 여러분들한테 도움이 되니까 !
그래도 나갈맘이 없다면 다음 예제를 보자.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PrintCalcResul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받은돈 : ");
int money = scan.nextInt();
System.out.print("상품의 총액 : ");
int total = scan.nextInt();
System.out.println("부가세 : " + (total / 10));
System.out.println("잔돈 : " + (money - total));
}
}
이번엔 Scanner로 돈을 입력받고 부가세와 잔돈을 print 하는 예제이다.
뒤에 붙는 ln은 줄바꿈을 의미한다
print의 괄호안에서 간단한 수식이 가능하다라는게 이 예제의 포인트다.
'그건 그전 예제에도 있었잖아' 라고 말할거면 입다물기 바란다
나도 안다. 그냥 적을게 더럽게 없어서 언급하는것일 뿐이다.
칸을 더 채우기 위해서 하나 말해주자면,
자바에서도 c언어처럼 printf가 사용가능하더라
c언어를 네가 모른다면 그냥 못들은척 하고 넘어가자 ~
class Bo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java.util.Scanner scan = new java.util.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가로 : "); double w = scan.nextDouble(); System.out.print("세로 : "); double h = scan.nextDouble(); double area; double perimeter; area = w * h; perimeter = 2 * (w + h); System.out.println( "사각형의 넓이 : " + area + "\n사각형의 둘레 : " + perimeter ); } }
눈썰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번 예제가 그전 예제들과 다르다는걸 눈치 챘을거다.
뭐 그렇다고 자만 하지는 말자 한번 배우면 거의다 기억하던거니까.
아직도 혼자 멍때리고 뭔일이 일어났나 보고 있는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다른 예제에서는 Scanner를 import하였지만 이번 예제에서는
main문 안에 적어주었다는 것이다.
더 자세한 설명은 구글검색을 이용하도록 하자
많은 선배님들의 고귀한 흔적들로 공부할수 있을것이다.
Scanner와 print와 상관없이 여담으로 하나 말하자면,
자바 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코드 들여쓰기는 가독성을 위해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한다.
이유는 나도 알지만 타이핑 하기 귀찮으니 생략한다.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이 프로그래머가 꿈이라면 시작부터 들여쓰기를 철저히 지키도록 하자
그래야 회사 가서 혼나는 일이 적어진다. 10번 혼날거 9번 혼난다는 말이다.
import java.util.*; class Exchang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 { double won = 1392.83;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원화를 입력하시오 : "); int inputMoney = scan.nextInt(); System.out.println( (inputMoney * won) + "달러"); } }
Scanner와 print 그리고 간단한 수식의 마지막 예제이다.
특별난점 없이 이전 예제들과 똑같다.
그나마 다른점이라면 won이라는 변수에 실수를 초기화해서
print 괄호안에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이건 이전 예제에 없었던 내용이니 태클걸려고 하지마라
간단한 코드들만 소개한 첫번째 복습 포스팅이었는데 생각보다 오래걸렸다.
앞으로 적어갈 더 어려운 이야기들은 더많은 시간이 걸릴것 같은데
똥같은 주제로도 걸작을 만들어 내려고 하다보면 글쓰기 실력이 많이 늘지 않을까 싶다
이글을 보다가 혹시나 궁금한점이나 의문이 있는 초보자들은 댓글을 남겨주길 바란다.
그리고 , 이글을 보다가 초보자들의 댓글을 발견한 고수들은 그냥 가지말고 걔네 질문에 답변해주길 바란다
그럼 넌 뭐하냐고 나한테 분명 물어볼테니 답변하자면 난 응원을 해줄거다.
내 응원 받고 모두 행복하길 바란다.
그러니 행복해지고 싶으면 댓글을 달도록 하자!
'IT >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 사용 연습 및 복습 (0) | 2017.05.02 |
---|---|
클래스 메소드 정확한 이해 (0) | 2017.04.30 |
조건문 switch 반복문 while for (0) | 2017.04.29 |
자바 형변환 if문 설명 (0) | 2017.04.28 |
자바 프로그래밍 복습을 시작합니다 (0) | 2017.04.23 |
댓글